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

Midjourney OREF 사물 고정하기ㅣ일관된 사물 이미지로 공간별 무드 확장 전략 Midjourney OREF(Omni Reference)는 인물뿐만 아니라, 가구, 소품, 제품 등의 사물 형태의 외형을 고정해 일관된 시리즈 이미지를 만들 수 있는 강력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소파 이미지를 예시로, OREF로 고정된 가구를 다양한 감성, 공간, 라이프스타일 연출로 확장하는 전략을 구체적으로 다룹니다. 브랜드 카탈로그, 무드보드, 공간 스타일링 콘텐츠 등에서 일관성 있는 사물 이미지를 실무에 적용하는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OREF로 사물 고정하기OREF는 기존 인물뿐 아니라 가구, 제품 등 사물의 형태와 스타일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다양한 배경, 조명, 공간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콘셉트 시리즈화: 같은 제품을 다양한 공간·조명·배치로 연출카탈로그, 무드보드.. 2025. 7. 17.
Midjourney OREF로 고정 인물 감정 표현하기|표정 프롬프트 실험 가이드 Midjourney OREF(옴니레퍼런스)를 활용하여 고정된 인물의 다양한 표정을 연출하는 가이드입니다. 프롬프트와 참조 이미지를 통해 인물의 감성을 확장하고, 브랜드 콘텐츠, 캐릭터 디자인, SNS 시리즈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롬프트 전략과 활용팁을 안내합니다.표정은 감정의 언어Midjourney의 OREF(옴니레퍼런스) 기능을 활용하면 인물의 외형을 고정한 채, 다양한 콘텐츠에 활용할 수 있는 일관된 캐릭터를 만들 수 있습니다. 여기에 표정까지 정교하게 조절한다면, 인물의 감정과 분위기를 더욱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이번 실험에서는 정면 클로즈업 구도를 기준으로 인물 톤을 고정하고, 키워드형, 문장형 프롬프트를 통해 다양한 표정을 묘사하거나, 감정을 담은 참조 이미지를 함께 사용하는 .. 2025. 7. 12.
Midjourney OREF 활용ㅣ 하나의 인물로 완성하는 감성 시리즈 이미지 설계법 Midjourney에서 생성한 인물 이미지를 OREF(옴니레퍼런스) 기능으로 고정한 뒤, 다채로운 감정과 무드로 확장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이 글에서는 하나의 인물 외형을 기준으로, 감성 톤과 장면 연출을 프롬프트로 섬세하게 변화시키며 일관된 시리즈 이미지로 확장하는 실험 과정을 상세히 다룹니다. 콘텐츠나 브랜드의 고유한 이미지 톤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인물 연출 전략을 살펴봅니다.OREF로 인물 고정하기Midjourney에서는 oref (옴니레퍼런스) 통해 특정 인물의 외형을 고정하면 다양한 감정, 분위기 연출이 가능합니다. 다음은 신비로운 분위기의 여성 모델 이미지를 사용하여 oref 사용 방법과 수치에 따른 실험 내용과 감성 프롬프트 템플릿을 소개합니다.oref 사용방법.. 2025. 6. 22.
나만의 인물 모델 만들기ㅣMidjourney 체형과 포즈, 감성까지 설계하는 법 Midjuorney 에서 인물의 체형과 포즈를 프롬프트로 표현할 때, 단순히 키워드만을 나열하는 것을 넘어 감성적인 문장 구조를 활용하면, 콘텐츠와 브랜드에 최적화된 나만의 인물 모델을 표현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연령·성별·인종별 체형 키워드와 포즈 감성 키워드를 활용한 문장형 프롬프트 설계법을 구체적으로 소개하며, 다양한 인물 연출을 가능하게 하는 실전 실험 내용을 소개합니다. 인물 연출의 완성은 '체형과 포즈' 브랜드의 얼굴이 될 인물, 콘텐츠에 감정을 불어넣는 인물 이미지를 설계할 때, 얼굴뿐 아니라 체형과 포즈가 만들어내는 무드가 전체 이미지의 핵심을 결정합니다. 나만의 인물 모델을 기반으로, 체형 표현과 포즈 설계를 조합해 하나의 캐릭터를 감성적으로 연출하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2025. 6. 8.
Midjourney 인물 감성 설계법|문장형 프롬프트로 만드는 감도 높은 인물 이미지 Midjourney에서 인물 모델 프롬프트를 설계할 때, 단순히 키워드만 나열하는 것보다는 감성이라는 깊이를 더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콘텐츠나 브랜드가 지향하는 고유한 분위기(룩앤필)를 인물 이미지에 담아내기 위해서는 무드와 감정을 아우르는 감성 키워드가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문장형 프롬프트를 활용해 인물의 스타일, 디테일, 감정, 포즈를 단계적으로 섬세하게 조절하며 Midjourney가 인물을 어떻게 해석하고 감성 톤을 만들어내는지 실험적으로 정리합니다. 같은 키워드라도 문장형으로 자연스럽게 연결했을 때 결과물이 얼마나 달라지는지 비교하며, 나만의 콘텐츠, 브랜드 이미지에 최적화된 “감성 톤”을 설계하는 실질적인 방법을 살펴봅니다. Midjourney 인물 설계의 핵심, '문장형 프롬프트'란?.. 2025. 6. 5.
공간으로 감성을 연출한다ㅣMidjourney 공간 중심 감성 이미지 설계 전략 공간은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감성을 만들어내는 무드보드입니다. 이 글에서는 Midjourney를 활용해 공간 중심의 감성 이미지 설계 전략을 정리합니다. 시네마틱 한 톤과 내러티브적 배경을 공간 장소를 중심으로 감성을 확장하는 전략을 예시 함께 소개합니다. 공간은 감성을 설계한다:시네마적 무드의 시작공간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이미지의 메시지와 감성 톤이 달라집니다. 디자이너의 시점에서 공간은 시네마틱 한 몰입감 전달하거나 브랜드의 정체성을 담아내는 핵심 무드보드입니다.Midjourney에서 공간을 다룰 때 중요한 것은 물리적 요소(질감, 재료, 구조)와 감성 톤(따뜻함, 긴장감, 고요함)을 하나로 엮는 것입니다. 그리고 공간의 조명, 시점, 질감과 감정 키워드를 조합해 ‘내러티브를 말하는’ 이미지.. 2025.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