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djourney는 우리가 가진 상상력과 감정을 시각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강력한 AI 이미지 생성 도구입니다. 특히 디자이너, 브랜딩 기획자, 콘텐츠 크리에이터에게는 단순한 시각미를 넘어서 스토리가 있는 이미지, 즉 감정과 상황이 느껴지는 연출이 매우 중요합니다. 단순히 예쁜 이미지가 아닌, 누가 왜 거기에 있고 어떤 순간을 포착했는지를 느낄 수 있는 이미지를 전달하는 것이 사람들의 시선을 오래 붙잡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Midjourney 프롬프트에 ‘내러티브(Narrative)’ 요소를 입히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캐릭터의 감정, 장면의 맥락, 배경의 흐름이 하나의 이미지 안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돕는 키워드 조합 전략을 함께 살펴봅니다.

1. 스토리텔링이 되는 이미지란?
스토리텔링이 있는 이미지는 ‘앞과 뒤’를 상상하게 만들고, ‘감정의 여운’을 남기며, ‘상황의 배경’을 유추할 수 있는 이미지입니다. 이러한 이미지는 사람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힘을 가집니다.
예를 들어, "어린 소년이 홀로 무너진 부두 끝에 낡은 여행 가방을 꼭 쥐고 있는 풍경”이라면, 그 이미지 안에 ‘누군가를 기다리는 마음’, ‘과거와의 연결’, ‘다음 순간의 변화’ 등이 자연스럽게 녹아 있습니다.
2. 내러티브 키워드란?
내러티브 키워드는 이미지 안에 ‘시간’과 ‘상황’을 부여하는 단어입니다. 주로 다음 요소들을 포함합니다.
- 주체(누가): a tired soldier, a joyful child, an old painter
- 행동(무엇을 하고 있는지): writing a letter, waiting in the rain, standing at a cliff
- 맥락(왜 그런지): after a long battle, before the wedding, lost in thought
- 배경(어디서): in a quiet forest, at the edge of the city, inside an old library
이 키워드들이 모이면 단어 하나하나가 이야기의 일부가 됩니다.
3. 내러티브를 위한 프롬프트 구조 설계
스토리가 담긴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키워드를 단순 나열이 아닌 구조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프롬프트 구조 A
[인물/주체] + [행동] + [감정] + [배경] + [연출 키워드]

프롬프트:
a young woman sitting alone at a train station, looking anxious, surrounded by fog, cinematic lighting, moody tone --ar 3:4 --v 7
기차역에 혼자 앉아 불안해 보이는 젊은 여성, 안개에 둘러싸여 있고, 영화 같은 조명과 우울한 분위기
프롬프트 구조 B
[관계] + [배경 전환] + [시간 흐름] + [내면 상태 묘사]

프롬프트:
two strangers waiting for the same train at midnight, unaware of each other's presence, subtle tension, neon-lit platform, cinematic frame --ar 3:4 --v 7
자정에 같은 기차를 기다리는 두 낯선 사람, 서로의 존재를 알지 못함, 미묘한 긴장감, 네온 불빛이 켜진 플랫폼, 영화적 프레임
이러한 방식으로 구조화하면 Midjourney는 장면(Scene)을 만들어냅니다.
4. 자주 쓰이는 내러티브 프롬프트 키워드 모음
- 감정 표현: lonely, hopeful, devastated, nostalgic, relieved
- 시간 흐름: at dawn, during sunset, late at night, in the rain
- 배경 전환: abandoned building, quiet alley, snow-covered street, ancient ruins
- 스토리 분위기: dramatic, melancholic, suspenseful, bittersweet

프롬프트:
a boy holding a photograph, standing in an abandoned house, looking nostalgic, soft lighting, cinematic mood --ar 3:4 --v 7
버려진 집에 서서 사진을 들고 있는 소년, 향수 어린 표정, 부드러운 조명, 영화 같은 분위기
5. 이미지에 서사를 입히는 4가지 실전 전략
관계 키워드 넣기
두 인물 이상이 등장하는 경우, 관계 설정으로 스토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프롬프트:
a father and daughter walking through a burnt forest, holding hands, emotional atmosphere --ar 3:4 --v 7
불타버린 숲을 걷는 아버지와 딸, 손을 잡고 감동적인 분위기
전후 상황 추가하기
지금의 감정을 설명하는 전·후 맥락을 넣어주면 시나리오가 생깁니다.

프롬프트:
after losing the match, a soccer player sits alone on the field, dramatic lighting --ar 3:4 --v 7
경기에서 패배한 후, 축구 선수가 경기장에 혼자 앉아 극적인 조명을 받고 있습니다.
주변 환경과 감정 연결하기
배경이 단순 장식이 아닌 감정의 연장선이 되도록 연출합니다.

프롬프트:
surrounded by broken toys, a child stares blankly at the wall, moody tone --ar 3:4 --v 7
부서진 장난감들에 둘러싸인 아이는 벽을 멍하니 바라보며 우울한 어조로 말했다.
의도적인 여백 활용하기
여백의 미를 활용한 이미지 연출은 내러티브적 깊이를 더해줍니다.

프롬프트:
a woman standing at the shore, holding an empty frame, wind blowing her hair, minimalistic style, sense of loss --ar 3:4 --v 7
해안에 서 있는 여자, 빈 액자를 들고, 바람에 머리카락이 흔들리는 모습, 미니멀한 스타일, 상실감
프롬프트 하나에도 이야기를 담아보세요
내러티브가 담긴 이미지 하나로도 충분히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습니다. Midjourney 프롬프트에 서사를 입히면, 보는 사람에게 ‘느낌’과 ‘맥락’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는 힘이 생깁니다.
단순한 키워드 조합을 넘어서, 이야기와 감정이 살아있는 프롬프트를 시도해 보세요. 감정이 담긴 이미지 한 장은 글보다 더 깊은 인상을 남길 수 있을 것입니다.
by dotory · 작지만 단단한 정보의 씨앗
'Midjourney x 디자이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djourney 실사 스타일 마스터하기|Photorealistic 인물 사진 완벽 가이드 (0) | 2025.04.15 |
---|---|
Midjourney 스타일 컨트롤 가이드|v7의 스타일 & 질감 표현 완전 정복 (1) | 2025.04.14 |
Midjourney 카메라 시점 가이드|top view부터 low angle까지 실무 프롬프트 전략 정리 (0) | 2025.04.14 |
Midjourney 조명 연출 가이드ㅣsoft lighting, rim light로 감성 더하기 (0) | 2025.04.13 |
Midjourney 프롬프트 스타일 바꾸기ㅣ무드와 연출로 감성 조정하는 법 (0) | 2025.04.12 |
프롬프트를 시리즈로 확장하는 법ㅣ반복 가능한 콘텐츠 구조 만들기 (0) | 2025.04.11 |
프롬프트 톤 & 스타일 정리|창의적인 이미지 생성 가이드 (0) | 2025.04.10 |
Midjourney 스타일 믹스 완전정복ㅣ감도 높은 이미지 프롬프트 조합법 (2)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