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프롬프트라도 어떤 스타일을 조합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무드의 결과가 나옵니다. 실무에서는 한 가지 스타일만으로는 차별화된 톤을 구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스타일 코드 믹스가 특히 유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Midjourney에서 스타일 코드를 믹스하는 방법을 보완형·대비형·확장형 세 가지 전략으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또한 --sref
, --sw
(Style Weight), --s
(Stylize) 조합에 따른 변화를 단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브랜드 룩북, 캐릭터 디자인, 광고 시안 등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롬프트 예시와 함께, 일관성 있는 브랜드 톤과 창의적 변주를 동시에 얻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전체요약
- 스타일 믹스 전략은 보완형·대비형·확장형 3가지로 정리
::비율
과--sw
및--s
강도의 조합에 따른 결과 차이- 코드 믹스 강도
--sw,--s
100 - 300 정도가 무난함 - 전략적 스타일 코드 믹스와 매개변수 설정을 통해 원하는 결과물 생성
Midjourney 스타일 코드 믹스란?
스타일 코드 믹스는 하나의 코드가 아닌 두 가지 이상을 조합해 새로운 무드를 만들어내는 방식입니다. 단일 코드만으로도 충분히 강렬한 이미지를 만들 수 있지만, 한 가지 스타일만으로는 차별화된 분위기를 표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시각적으로 확립하기 위해 새로운 비주얼 언어를 제시하거나, 실험적인 광고 아트워크를 제작할 때 특히 유용합니다.

A fashion editorial photo of a female model wearing a flowing chiffon dress, elegant garden runway with blooming flowers. --sref 코드
흐르는 시폰 드레스를 입은 여성 모델의 패션 화보 사진, 활짝 핀 꽃이 있는 우아한 정원 런웨이 배경.
- 브랜드 룩북: 시즌별 무드 변화를 스타일 코드를 통해 톤의 일관성을 유지
- 캐릭터 디자인: 동일한 인물(OREF 고정)에 다양한 분위기 입히기
- 광고·포스터: 스타일 믹스를 통해 실험적이고 독창적인 아트워크 제작
☑️ 하나의 프롬프트도 스타일 믹스를 통해 전혀 다른 무드로 변주할 수 있으며, 이는 곧 비주얼 아이덴티티를 확장하는 전략적 도구가 됩니다.
스타일 코드와 매개변수 구성 전략
스타일 믹스는 보완형/대비형/확장형 세 가지 접근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아래 예시에서는 동일한 피사체의 프롬프트 이미지에 --sref
(Style Reference) 비율, --sw
(Style Weight) 강도, --s
(Stylize) 값을 바꾸며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비교합니다.
--sref
코드와 --sw
스타일 강도, --s
스타일라이즈 옵션 가이드
스타일코드 강도에 따른 변화와 스타일라이즈 옵션을 사용 시 결과물의 차이점을 먼저 살펴봅니다.

A portrait of a young woman --ar 3:4 --raw --sref 380293196 --sw 100 --s {100, 200, 300, 500}
Tip : --s {100, 200, 300, 500} → 사용 옵션{대괄호 생성 강도를 순서대로 입력하면 한 번에 생성}
☑️ 예시인 파스텔톤 스타일코드의 --sw
강도가 높을수록 톤과 몽환적 분위기 강해지고 --s
강도가 높을수록 좀 더 사실적인 디테일이 강조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sref/--sw/--s
요약
-sw
: 스타일 코드의 무드 비중을 결정(높을수록 해당 무드가 전반에 강조)-s
: Midjourney 자체 미학(스타일라이즈)의 개입 정도(높을수록 더 정제/실사적 디테일 강화)- 함께 조절하면 무드 선택(
--sw
) × 표현 방식(--s
)의 두 축에서 제어 가능
스타일 믹스 실무 적용 전략 3가지
1. 보완형 믹스 : 조화로운 감성 무드 만들기
실사 기반의 파스텔톤과 몽환적 분위기에 시네마틱 톤을 더해 조화로운 결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감성 화보나 브랜드 무드보드에 적합합니다.
Pastel + Cinematic 코드 예시

--sref 380293196
: 파스텔톤, 몽환적 무드--sref 992883806
: 시네마틱, 강한 대비, 실사적 표현
☑️ 위 두 가지 코드를 믹스 시 결과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상세하게 살펴봅니다.
Pastel + Cinematic 코드 결과
- 스타일 코드 1 : 1 비율 +
--s
강도

A portrait of a young woman --ar 3:4 --raw --sref 380293196 992883806 --sw 100 --stylize {100, 200, 300, 500}
☑️ 성격이 다른 스타일코드 1:1로 믹스되어 몽환적인 톤으로 시네마틱 한 여성 인물 분위기로 표현되었습니다. 스타일라이즈 강도가 너무 높아지면 SEED로 고정된 인물도 강하게 변경되는 부분은 참고하여 적절한 수치값을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스타일 코드 2 : 1 비율 +
--s
강도

A portrait of a young woman --ar 3:4 --raw --sref 380293196::2 992883806 --sw 100 --stylize {100, 200, 300, 500}
☑️ 파스텔 스타일코드 2로 높여 몽환적인 톤을 좀 더 강화한 여성 인물 모습입니다. 스타일라이즈 강도를 높여 무드 분위기를 유지한 상태로 좀 더 사실적인 분위기 강도를 높여 볼 수 있습니다.
- 스타일 코드 3 : 1 비율 +
--s
강도

A portrait of a young woman --ar 3:4 --raw --sref 380293196::3 992883806 --sw 100 --stylize {100, 200, 300, 500}
☑️ 파스텔 스타일 코드 3으로 높여 몽환적인 톤을 더욱 강화한 여성 인물 모습입니다. 마찬가지로 스타일라이즈 강도를 높여 무드 분위기를 유지한 상태로 사실적인 분위기로 표현해 볼 수 있습니다.
2. 대비형 믹스 : 새로운 비주얼 아트워크 창조
정반대 성격의 스타일을 충돌시켜 강렬한 대비를 만드는 방식입니다. 현실적인 포토 스타일과 애니메이션 믹스를 통해 실사 이미지의 무드를 변형하는 내용입니다.
Anime + Photographic 코드 믹스 예시

--sref 1682487742
: 골든아워, 조명 대비, 현실적 무드--sref 2642048297
: 부드러운 자연광, 소프트, 애니메이션
Anime + Photographic 코드 믹스 결과
- 스타일 코드 비율과
--s
강도 예시

☑️ 실사 포토의 강한 질감과 애니메이션의 색채가 겹쳐 현실감 속에 판타지가 스며든 톤이 형성됩니다. 애니메이션 비율이 커질수록 선/채색 특징이 강화됩니다.
- 스타일 코드 1 : 2 비율 +
--s
강도

☑️ 실사적인 포토 스타일 1과 애니메이션 2 비율의 믹스 분위기에서 스타일라이즈 강도를 높여 적절한 결과물을 생성해 볼 수 있습니다.
3. 확장형 믹스 : 깊이 있는 브랜드 톤
같은 계열의 스타일을 겹쳐 디테일과 깊이를 강화하는 방식입니다. 빈티지한 스타일에서 차분한 무드와 다소 어두운 분위기를 믹스하여 클래식한 아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Vintage + Moody 코드 믹스 예시

--sref 418394298
: 빈티지, 차분한 몽환적 무드--sref 1925421989
: 빈티지, 어두고 음산한 무드
Vintage + Moody 코드 믹스 결과
- 스타일 코드 비율과
--s
강도 예시

☑️ 차분한 빈티지 톤 위에 무디한 대비가 더해져 깊고 고전적인 분위기가 강화됩니다. 비율을 조정하면 빈티지의 분위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 스타일 코드 비율과
--s
강도 예시

☑️ 차분한 빈티지 톤과 무디 한 대비를 1:1로 하고 스타일라이즈 강도를 높여 적절한 결과물을 선택합니다.
스타일 믹스 실무 적용
두 가지 스타일 코드를 조합하면 실무에서 원하는 무드를 더욱 정교하게 설계할 수 있습니다. --sw
강도와 ::비율
을 조절해 결과의 균형을 잡을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 가능합니다.
- 보완형: 서로 다른 톤을 조화롭게 → 룩북, 무드보드
- 대비형: 정반대 톤의 충돌 → 광고, 실험적 아트워크
- 확장형: 같은 계열의 심화 → 브랜드 톤 확립
비율/강도 비교
조합 | --sw | 결과 특징 | 활용 |
1:1 | 300 | 양쪽 무드 균형, 안정적 | 룩북·무드보드 |
1:2 | 300 | 보조 스타일 강조, 변주 | 콘셉트 탐색 |
3:1 | 400 | 주 스타일 집중 | 브랜드 톤 확립 |
단일 코드 | 500 | 특정 무드 고정 | 장르 고정 컷 |
3개 이상 | 300~500 | 불안정·예측 난도↑ | 실험 아트워크 |
--sw × --s
매트릭스
--sw | --s | 체감 결과 |
300 | 100 | 프롬프트 충실, 스타일 최소 |
500 | 100 | 특정 코드 무드 집중 |
300 | 500 | 예술성/추상성↑, 회화적 |
500 | 500 | 무드·미학 모두 강함(강한 일관성) |
나만의 스타일 자산을 구축하기 위한 여정
Midjourney 스타일 코드 믹스는 단순히 옵션을 더하는 게 아니라, 창의적 룩앤필을 확장하는 전략적인 설계 도구입니다. 하나의 스타일로는 표현하기 힘든 감성과 깊이를 만들어낼 수 있으며, 이는 곧 나만의 비주얼 아이덴티티가 됩니다. 특히 브랜드나 프로젝트 단위에서 톤의 일관성 + 실험적 변주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어, 실무 활용 가치가 큽니다. 이제 단일 코드 탐색에 머무르지 않고, 전략적인 믹스 실험을 통해 나만의 스타일 자산을 구축해 보세요.
by dotory · 작지만 단단한 정보의 씨앗
'Midjourney x 디자이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 세계의 충돌로 감성을 디자인하다|Midjourney 스타일 코드 실험 아트워크 (0) | 2025.10.13 |
---|---|
Midjourney Style Explorer V1|스타일 탐색 가이드 (0) | 2025.09.23 |
Midjourney Retexture 기능 가이드|인물·제품·인테리어 재질·스타일 변환 (0) | 2025.09.08 |
Midjourney Edit 기능 가이드|헤어스타일·의상·배경 교체까지 Edit 기능 활용하기 (0) | 2025.08.28 |
Midjourney OREF 의상 고정 전략ㅣ플랫 레이로 시작하는 AI 룩북 제작 가이드 (4) | 2025.08.11 |
Midjourney OREF 사물 고정하기ㅣ일관된 사물 이미지로 공간별 무드 확장 전략 (1) | 2025.07.17 |
Midjourney OREF로 고정 인물 감정 표현하기|표정 프롬프트 실험 가이드 (0) | 2025.07.12 |
Midjourney OREF 활용ㅣ 하나의 인물로 완성하는 감성 시리즈 이미지 설계법 (0) | 2025.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