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idjourney x 디자이너

공간이 감성을 만든다|장소 기반 감성 시리즈 설계법

by dotory-rich 2025. 4. 25.

공간은 감성을 설계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글은 디자이너와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Midjourney를 활용해 감정에 어울리는 장소를 어떻게 기획하고, 장면 시리즈로 확장할 수 있는지를 안내합니다. 장소의 구조, 조명, 시간대, 질감 등 시각 요소를 감정 키워드와 연결해 감성 중심 브랜드 콘텐츠를 설계하는 실전 전략을 소개합니다.

비오는 밤 지하철 창가의 여성 감성 이미지_Midjourney
공간이 감성을 만들다|Created with Midjourney v7


공간은 감정의 무대다

어떤 장면이든, 감정은 공간 속에서 완성됩니다. 커피를 마시는 장면도, 책을 읽는 장면도, 비 오는 날 걷는 순간도, 그 모든 장면이 어디에서 일어나는가에 따라 감정의 밀도는 완전히 달라집니다. 디자이너는 단순히 ‘예쁜 장소’를 고르는 사람이 아니라 감정을 설계할 수 있는 배경을 기획하는 사람입니다. Midjourney는 이 공간 연출을 가능하게 해주는 시각적 도구이자, 감성 콘텐츠를 구조화하는 플랫폼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장소 기반 감성 시리즈’를 설계하는 전략을 공유합니다. 감정 키워드에 어울리는 장소를 어떻게 선택하고, 시간, 빛, 구도, 다양한 동작과 함께 ‘시리즈 이미지’로 확장할 수 있는지 실험하며 살펴봅니다.


왜 장소가 감성 설계의 핵심인가?

[1] 감정은 배경에서 태어난다

같은 표정도 어떤 공간에서 표현하느냐에 따라 다른 감정선이 연출됩니다. 예를 들어, "눈물이 흐르는 장면"이 카페에서 벌어질 때와 골목길, 비 오는 날의 버스 정류장에서 벌어질 때는 전혀 다른 이야기를 만듭니다.

[2] 브랜드 무드를 구체화하는 장치

공간은 브랜드 감성을 구체화하는 물리적인 장치가 됩니다.

예를 들어, 북 카페 브랜드라면 우디 한 인테리어, 은은한 조명, 책이 가득한 공간이 브랜드 무드를 구체화해 줍니다.

[3] 장소는 장면을 연결하는 ‘내러티브 축’

시리즈 이미지에서 배경은 이야기의 시간과 맥락을 이어주는 감정의 흐름입니다.
공간의 이동은 곧 감정의 이동이며, 내러티브 전개 그 자체입니다.


장소를 중심으로 감성을 시리즈화하는 전략

감성 키워드에 맞는 공간군 분류

감성 키워드 어울리는 공간
고요함, 평온 북카페, 정적인 창가, 서재
외로움, 그리움 비 오는 거리, 골목길, 오래된 계단
따뜻함, 편안함 아늑한 침실, 낮은 조도 조명, 목재 질감 공간
설렘, 일상 커피숍, 공원 벤치, 지하철 플랫폼

 

프롬프트 설계 포인트

감성 표현을 위한 프롬프트는 아래 요소의 조합으로 설계합니다.

감정 키워드 + 공간명 + 시간대 + 조명 + 카메라 시점 조합

 

프롬프트 예시:

nostalgic mood, in a vintage Korean bookstore, warm dim light, eye-level shot

장소 기반 감성 시리즈 실전 예시

장소를 기반으로 한 이미지 콘셉트를 몇 가지 설정한 뒤, 다소 추상적인 감성 키워드를 중심으로 프롬프트를 구성하고, 조명과 질감, 감정의 톤까지 섬세하게 반영한 두 가지 프롬프트를 제작했습니다. 이를 Midjourney에 적용해, 감성이 이미지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실험하며 살펴봅니다.

 

[1] 노을이 머무는 창가

장소 감성: 따뜻함, 회상, 여유

프롬프트 A
Korean woman sitting by a window in a small apartment, sunset light casting long shadows, cup of tea on the windowsill, peaceful and nostalgic mood --v 7 --ar 3:4

작은 아파트 창가에 앉아 있는 한국 여성, 창문으로 들어오는 석양빛이 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고, 창틀 위에는 차 한 잔이 놓여 있음. 평화롭고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분위기.

 

프롬프트 B
a Korean woman sitting by a window in a cozy small apartment, golden hour light casting soft shadows, a cup of tea on the wooden windowsill, peaceful and nostalgic mood, natural skin texture, warm glowing tones --v 7 --ar 3:4

아늑한 작은 아파트 창가에 앉아 있는 한국 여성. 황금빛 저녁 햇살부드러운 그림자를 드리우고, 나무 창틀 위엔 따뜻한 차 한 잔이 놓여 있다. 평화롭고 아련한 감성이 감돌며, 자연스러운 피부 질감과 따스하게 빛나는 색감이 조화를 이룬 장면

 

노을이 머무는 창가 실험 예시_Midjourney v7
노을이 머무는 창가 실험|Created with Midjourney v7

 

이미지는 Midjourney v7의 기본 설정에서 ‘드래프트 모드’를 활용해 1차로 생성한 결과물입니다. 프롬프트 A는 다소 추상적인 장면으로 감정을 암시하는 정도에 그쳤고, 프롬프트 B는 보다 사실적이며, 감정의 디테일을 섬세하게 담아내려는 의도가 뚜렷하게 느껴졌습니다. 아래 표는 두 프롬프트 간의 구성 차이와 그에 따른 이미지 결과물의 표현 차이를 보기 쉽게 정리한 내용입니다.

 

프롬프트 비교  

요소 프롬프트 A 프롬프트 B 설명
아파트 작은 아파트 아늑한 작은 아파트 감성 키워드 ‘cozy’ 반영
빛 표현 석양빛, 긴 그림자 황금빛 저녁 햇살, 부드러운 그림자 분위기 강조 + 정서적 뉘앙스 강화
차 디테일 차 한 잔 나무 창틀 위에 있는 차 한 잔 배경 질감(wooden) 반영
감정 표현 평화롭고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분위기 평화롭고 아련한 감성 ‘nostalgic’의 시적 감성 강조
디테일 추가 없음 피부 질감, 빛나는 색감 포토리얼리즘 질감 반영으로 몰입도 향상

 

결과물 비교

항목 프롬프트 A 프롬프트 B
 색감 강한 그림자, 명암 대비 위주 황금빛, 따뜻한 톤, 조명과 질감의 조화
공간 표현 단순한 실내, 구조 중심 묘사 아늑하고 감성적인 실내 묘사
오브젝트 디테일 컵과 창틀 표현이 상대적으로 추상적 나무 창틀, 도자기 느낌의 찻잔 등 디테일 풍부
감정 전달 상대적으로 건조하고 설명적인 느낌  잔잔한 회상, 아련함, 따뜻한 내면 풍경 전달

 

 

[2] 아침의 좁은 복도

장소 감성: 일상의 시작, 고요한 결심

프롬프트 A
narrow hallway in an old apartment, soft morning light through the window, slippers on the floor, Korean girl holding a notebook, ready to start the day --v 7 --ar 3:4

오래된 아파트의 좁은 복도,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부드러운 아침 햇살, 바닥에 놓인 슬리퍼, 노트를 들고 있는 한국 소녀, 하루를 시작할 준비가 된 모습

 

 

프롬프트 B
a quiet eye-level view of a Korean girl standing in a narrow hallway of an old apartment, soft morning light streaming through a side window, notebook in hand, slippers on the floor, calm and determined mood, natural textures, subtle shadows --v 7 --ar 3:4

오래된 아파트의 좁은 복도에 서 있는 한국 소녀를 눈높이 시점에서 바라본 장면, 옆 창문으로 부드러운 아침 햇살이 스며들고, 손에는 노트가 들려 있으며, 바닥엔 슬리퍼가 놓여 있다. 고요하고 단단한 결심이 느껴지는 분위기, 자연스러운 질감과 은은한 그림자가 함께 어우러진 장면.

아침의 좁은 복도 실험 예시_Midjourney v7
아침의 좁은 복도 실험|Created with Midjourney v7

 

동일한 조건에서 생성된 1차 결과물입니다. 프롬프트의 감성과 디테일한 설계가 표현력에 영향을 주는지 느낄 수 있었습니다. 아래 표도 프롬프트에 따른 이미지 결과물의 차이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프롬프트 비교

항목 프롬프트 A 프롬프트 B
시점 시점 언급 없음 eye-level view (시선 감정 몰입도 향상)
조명 soft morning light through the window streaming through a side window(빛의 흐름과 방향성 강조)
인물 묘사 holding a notebook (정적인 정보) notebook in hand, standing, determined mood(감정 포함된 묘사)
감정 표현 ready to start the day (설명적) calm and determined mood (감정을 시각적으로 유도)
질감과 그림자 없음 natural textures, subtle shadows (공간 분위기 심화)

감성 설계는 공간부터

감성 시리즈를 만든다는 것은 단순히 분위기 있는 이미지를 나열하는 일이 아닙니다. 디자이너는 장소의 분위기에 섬세한 감정을 입히고, 그 공간을 통해 감정을 시각화함으로써 하나의 세계관을 만들어냅니다. Midjourney는 그 상상의 공간을 감성이 담긴 현실처럼 구현해 주는 도구이며, 우리가 함께 만들어가는 장면 하나하나가 곧 브랜드 무드의 조각이 됩니다. 공간이 감정을 이끌고, 감정이 이야기를 만들며, 그 이야기가 브랜드의 언어가 됩니다.